2017년, 미얀마에서 발생한 로힝야족 인종 청소 사건은 국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이 과정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대응은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미얀마에 거주하는 이슬람 소수 민족인 로힝야족은 오랫동안 미얀마 군부와 정부로부터 심각한 탄압과 차별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2017년 8월 로힝야 반군의 미얀마 경찰 초소 공격을 계기로 미얀마 군부는 로힝야족을 상대로 대대적인 ‘소탕 작전’을 펼쳤습니다. 이로 인해 수천 명의 로힝야족이 목숨을 잃고, 여성과 어린이가 성폭행을 당하며, 수많은 마을이 불에 타 없어지는 끔찍한 인권 침해가 발생했습니다.
국제 사회는 이러한 사태를 ‘인종 청소’로 규정하며 강력히 비판했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은 미얀마를 방문하면서도 로힝야족 문제에 대해 명확한 언급을 하지 않아 비판을 받았습니다. 특히 미얀마 실권자인 아웅산 수치와의 회담에서도 교황은 이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여러 인권 단체들은 교황이 정치적 이유로 민감한 문제를 회피했다고 지적하며 실망감을 표했습니다.
교황의 침묵은 그가 종교적 지도자로서 도덕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었던 중요한 순간에서 그러지 못했다는 평가로 이어졌습니다. 국제 사회는 교황이 인권 문제에 있어 더욱 강력한 목소리를 내기를 기대했으나, 정치적 고려가 그의 결정을 지배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이는 가톨릭 교회의 도덕적 권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교황이 평소 강조해온 인권 보호에 대한 메시지와 상충되는 행동으로 여겨졌습니다.
이 사건은 도덕적 리더십을 가진 인물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인권 문제에 대해 용기 있게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교훈을 남깁니다. 국제 사회의 지도자들이 정치적 상황을 넘어서 인류 보편적 가치인 인권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