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콘클라베> 밀실에서 뽑힌 교황이 신의 뜻이라는 허상.

전 세계 10억 명이 넘는 가톨릭 신자들을 대표할 지도자를 뽑는 일이 벌어진다. 거창하게 들리지만, 막상 그 과정은 참으로 소박하다. 왜냐고? 신자 수가 10억이든 100억이든, 교황을 뽑는 데 실제로 투표하는 사람은 고작 120명쯤 되기 때문이다. 그것도 전부 고위 성직자인 추기경들이다. 전 세계 신자들은? 그냥 박수나 치고, 촛불이나 켜고, 기도나 하라는 것이다.

이 역사 깊은 제도의 이름은 콘클라베. 뜻은 라틴어로 “자물쇠로 잠근 방.” 이름부터 기가 막히다. 민주주의는 하늘로 치솟고, 투명성은 도망가고, 남는 건 중세 연극이다. 성령이 내려와 뽑아준다지만, 현실은 권력 정치의 진흙탕. 회의장 안에서는 누가 누구와 손잡았는지, 어느 나라 추기경이 몇 표를 가졌는지 눈치싸움이 벌어지고, 바깥에서는 전 세계 신자들이 “신의 선택”이라며 감격한다. 종교적 마케팅의 완성판이 따로 없다.

이 밀실극의 주연 배우들은 한결같이 교황이 임명한 사람들이다. 전임 교황의 인사정책에 따라 구성된 이 내밀한 엘리트 집단은 교회판 ‘정실주의 클럽’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평신도? 아무런 권한 없다. 대부분의 신부들도 마찬가지. 그저 콘클라베 결과를 경건하게 받아들이고, “이분이 바로 성령이 택하신 분입니다!”라고 감탄사만 외치면 된다. 누가 봐도 중세 봉건 영주들의 작위 계승과 다를 바 없다. 성이 빠지고, 십자가만 붙었을 뿐이다.

콘클라베가 끝나면 드디어 하이라이트가 펼쳐진다. 하얀 연기가 피어오르고, 수많은 인파가 바티칸 광장에서 환호를 터뜨린다. 웅장한 음악과 함께 새 교황이 발코니에 등장하면, 곧바로 ‘신이 택한 자’라는 낙인이 찍힌다. 여기서 중요한 건, 이 사람이 신의 선택인지, 단순한 절충의 산물인지는 아무도 묻지 않는다는 점이다. 정치적 타협으로 만들어진 결과도, 찬송가 한 소절과 함께 “하느님의 뜻”으로 둔갑한다. 그렇게 연극은 막을 내리고, 박수는 쏟아진다.

이렇게 완성된 교황은 세계 곳곳에서 도덕적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평화, 정의, 빈곤 타파. 그런데 그 말을 하고 있는 존재는, 정작 세상에서 가장 비민주적인 방식으로 뽑힌 인물이라는 사실은 누구도 언급하지 않는다. 투표율은 0.000012%, 참정권은 성직자에게만 주어진다. 선출 방식은 세속 정치라면 국가 붕괴를 초래할 수준인데, 교회에서는 전통이라며 경외심을 끌어낸다. 뭐든 전통이라면 면죄부를 받는 세계다.

교회 측은 종종 말한다. “우리는 세속 조직과는 다릅니다. 신앙의 공동체입니다.” 맞다. 그런데 그 공동체는 어째서 유독 권력 문제 앞에서는 세속보다도 더 복잡하고 폐쇄적인지 묻고 싶다. 신의 목소리를 듣는다고 자처하면서, 왜 교황직은 늘 치열한 물밑 협상과 타협 끝에 탄생하는가? 하느님은 도대체 어느 쪽 로비에 마음이 약하신 건가?

교황은 21세기에도 여전히 바티칸 성벽 안에서 태어난다. 흡사 르네상스 시대의 군주처럼, 성스러운 무대를 배경으로 권력을 넘겨받는다. 그리고 이 ‘중세의식’은 아직도 수억 명에게 마치 신비로운 사건인 양 전해진다. 하지만 지금은 2025년이다. 국민주권, 투명성, 대표성은 교과서에만 있는 개념이 아니다. 교회가 진심으로 현대 세계와 소통하고자 한다면, 최소한 지도자 선출 정도는 중세식 밀실 연극이 아니라, 신자들의 신뢰 속에 이뤄져야 한다.

언제까지 “열쇠로 잠근 방”에서 신의 뜻을 대행할 것인가? 콘클라베는 이제 낭만도, 신비도 아닌, 가톨릭 교회의 권력 기계 그 자체다. 이대로라면 ‘교황’이라는 말보다 ‘카톨릭 CEO’ 혹은 ‘선출형 군주’가 더 어울릴지도 모른다. 세상이 바뀌면, 신앙도 제도도 바뀌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바뀌는 건 하나뿐이다. 신뢰다.

 

출처: https://namu.wiki/w/%EC%BD%98%ED%81%B4%EB%9D%BC%EB%B2%A0(%EC%98%81%ED%9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