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비극 앞에서 종교가 해야 할 일: 공감과 연대의 회복
국가적 비극은 사회가 하나로 뭉쳐 아픔을 치유하고, 더 나은 내일을 함께 만들어가는 중요한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 세월호 참사, 이태원 10.29 참사, 제주항공 참사 등과 같은 비극은 우리 사회에 큰 슬픔을 안겼습니다. 그리고 그 슬픔을 위로하고 희망을 제시하는 데 종교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다시금 깨닫게 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개신교 지도자들의 발언과 행동은 기대와는 반대로 국민적 연대를 훼손하고, 사회적 갈등을 키우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국가적 비극을 대하는 종교 지도자의 책임
세월호 참사 당시, 일부 목회자들은 참사의 책임을 국가 시스템이나 구조적 문제 대신 희생자와 국민에게 전가하는 발언을 했습니다. “하나님이 나라가 침몰하려 하니 학생들을 침몰시켜 경고를 준 것”이라는 말은 많은 사람에게 충격을 주었습니다. 비극을 신학적 도구로 활용하려는 이러한 발언은 국민의 슬픔을 위로하기는커녕, 더 큰 분노와 갈등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태원 참사에서도 비슷한 일이 반복되었습니다. 한 전도사가 “젊은 사람들이 귀신과 함께 놀다가 벌어진 일”이라고 말하며, 희생자들을 비난하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핼러윈을 문화적 타락과 연결짓고 비극의 본질을 왜곡하려는 시도는 많은 국민의 마음에 상처를 남겼습니다.
제주항공 참사에 대해서도 “하나님이 사탄에게 허락한 것”이라는 발언이 나왔습니다. 더 나아가 이를 특정 정치적 이념과 연결시키며 참사를 정치적 도구로 삼으려는 모습은, 국민적 공감을 저해하는 무책임한 태도로 비춰졌습니다.
종교의 역할은 연대와 치유입니다
이러한 발언과 행동은 종교적 공공성을 심각하게 훼손합니다. 종교는 아픔을 치유하고, 갈등을 해소하며, 사랑과 연대를 통해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드는 데 기여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부 종교 지도자들은 비극을 자신들의 이념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삼아, 종교 본연의 목적을 잃어버린 모습만을 보여주었습니다.
국가적 비극은 그 자체로도 큰 아픔입니다. 이를 신학적 도구나 정치적 논쟁의 소재로 삼으려는 태도는 우리 사회에 분열과 상처만을 남길 뿐입니다.
종교의 진정성을 회복해야 할 때
국민은 슬픔 속에서도 함께 아파하고, 서로를 위로하며, 연대하는 종교를 원합니다. 종교 지도자는 비극의 순간에 더욱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하며, 사랑과 공감의 메시지를 통해 국민적 치유를 이끌어야 합니다.
이제는 종교의 진정성을 회복하고, 국민적 신뢰를 다시 쌓아야 할 때입니다. 비극을 신학적 왜곡으로 정당화하거나 권력의 도구로 사용하는 행태는 반드시 비판받아야 합니다. 종교가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때, 우리는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